본문 바로가기
트렌드 이슈

올여름 폭염 대비 필수! 온열질환 예방법 5가지 총정리

by PianoCanvas 2025. 7. 31.
반응형

해마다 여름이 되면 찾아오는 무더위. 하지만 올해는 유독 더운 날씨와 함께 폭염 위기경보 '심각' 단계까지 겹치면서 건강 관리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특히 노약자나 야외에서 활동이 많은 분들에겐 온열질환에 대한 대비가 꼭 필요합니다.

온열질환이란, 체온 조절이 제대로 되지 않아 발생하는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열실신 등을 말하는데요. 이 질환은 방심할 틈 없이 빠르게 진행되어 심할 경우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누구나 실천할 수 있는 온열질환 예방법 5가지를 소개합니다.

1. 낮 시간대 야외 활동은 최대한 자제하기

폭염이 가장 심한 시간대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5시 사이입니다. 이 시간에는 태양 복사열이 가장 강해 체온이 빠르게 상승할 수 있습니다. 특히 농촌, 건설 현장 등 실외 작업이 잦은 환경에서는 업무 스케줄을 조정하거나 가능한 한 그늘에서 쉬는 시간을 자주 가져야 합니다.

팁: 스마트폰 날씨 앱을 통해 **열지수(HI, Heat Index)**를 확인하고, 경고 단계 이상일 땐 외출을 피하세요.

2. 가볍고 통풍 잘 되는 옷 입기

무더운 날씨에 땀이 계속 나면 체온 조절이 더 힘들어집니다. 이때 가볍고 느슨하며 통기성이 좋은 옷을 입으면 땀이 마르면서 체온이 낮아지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추천 소재: 면, 리넨, 기능성 스포츠웨어 등

또한 어두운 색 옷은 열을 더 흡수하므로, 밝은 색 계열의 옷을 선택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3. 외출 시 모자와 양산으로 직사광선 차단하기

태양열을 직접 받으면 체온 상승이 더욱 빨라집니다. 특히 두피와 얼굴은 열이 집중되는 부위이므로 외출 시에는 챙 넓은 모자UV 차단 양산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 여성뿐 아니라 남성용 양산도 출시되고 있으니 적극 활용해보세요. 이는 단순히 피부 보호를 넘어 열사병 예방에 효과적인 수단입니다.

4. 충분한 수분 섭취로 탈수 예방하기

온열질환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탈수입니다. 땀으로 수분과 전해질이 빠져나가면서 체온 조절 능력이 급격히 저하되기 때문이죠. 이럴 땐 목이 마르지 않아도 주기적으로 물을 마시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주의할 점:

  • 알코올, 카페인이 든 음료는 오히려 수분을 더 빼앗을 수 있으므로 피하세요.
  • 격한 활동 후에는 전해질이 포함된 스포츠 음료도 효과적입니다.

5. 실외 작업 중엔 1시간마다 짧은 휴식 필수

농사, 건설, 택배 등 실외에서 장시간 활동하는 분들은 최소 1시간에 10~15분씩 그늘에서 쉬는 시간을 가져야 합니다. 작업 중 무리하게 버티다 보면 어느 순간 의식이 흐려지거나 근육 경련 등의 초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휴식 장소에 냉풍기, 얼음팩, 선풍기 등 냉방 기구를 두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마무리하며

폭염은 단순히 "더운 날씨"를 넘어서 생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기 상황입니다. 하지만 위에서 소개한 다섯 가지 예방법을 생활 속에서 실천한다면, 누구나 안전하게 여름을 보낼 수 있습니다.

가족, 이웃, 주변 사람들과 함께 온열질환 예방법을 공유하고, 특히 노약자나 어린이 등 취약 계층에 대한 관심도 함께 가져보는 여름이 되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